광산김씨 선세 문헌

본문

1. 평장사

back.gif

 

평장사”는 평장동의 역사를 기록한 서책이다. 이 책은 1925년에 도유사 김철현평장동지(平章洞誌)라는 이름으로 처음으로 발간하였다. 이 기록을 기초로 하여 1957년에 도유사 김연수잠영세보(簪纓世譜)를 증보(增補)하여 평장사를 간행했다. 그 후 또 다시 1976년에 도유사 김영천(金永千)평장사를 증보하고 아울러 번역문을 첨부한 평장지(平章誌)를 간행하였으며 1996년에 도유사 김선규가 광산김씨(속)평장지를 발행하였다. 이로써 시조공의 “사우”와 “취사당”과 아울러 광산김씨 문헌등 삼자(三者)가 구비하게 되었고 최근에 개관한 “광산김씨역사관”(도유사 김용원)이 이를 보완하고 있다.

 

1957년에 간행한 “평장사”의 내용을 보면,

1장 평장동의 개관

2장 평장동의 연혁

3장 평장동과 광산김씨

4장 신라왕자공 유허

5장 유허의 침해와 수호

6장 유허의 수호 시설

7장 각종 시설의 관리

8장 단향

9장 광산김씨와 평장동 등으로 되어있고 부록으로는,

1)광산현 제영시서

2)평장동호 복구기

3)충정공(忠貞公) 묘지명

4)비각 중수기

5)평장동 유허서

6)취사당 기(記) 및 서(序)

7)평장동 시서등 많은 문헌이 기재되어 있고 부록으로는 광산김씨 잠영세록(簪纓世錄)이 있다.

 여기에는

 ① 도학문 부(附) 은둔학행

 ② 문장문

 ③ 훈공문

 ④ 충효문

 ⑤ 절의문 부 비위

 ⑥ 과환문 등 6부분에 걸쳐 현조(顯祖)의 행적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 편집자 주

① 아쉬운 것은 현조중에서 여기에 등재된 사실이 참고문헌과 상위되는 점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정확한 사기(史記)의 간행이 요청된다 하겠다.

②“속평장지”에는 윤현, 수현, 형수 세사람의 취사당서가 있고 오현, 중현, 진현, 기현, 용현, 영목, 상수, 재응 여섯사람의 취사당기가 있다. 이외에도 취사당과 관련한 기록과 이십회에 가까운“광주목”에 보낸 단자의 글 및 평장동 종약, 취사당 입규 등 평장동과 관련한 주요한 기록이 상당수 있다.

③ “평장동”에는 유허비각 전면기둥에 천년기지 팔세평장(千年基址 八世平章)이라는 사언 절구시 한수와 수존제 기둥에 사언절구의 시 4수, 경모제 기둥에 칠언 절구의 시 4수, 취사당 기둥에 칠언 절구의 시 4수와 취사당 실내에 벽에는 28개의 한문액자가 걸려있다. 체계적인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