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 조선의 공신: 2. 정사공신(定社功臣) |
§공신명: 추충협찬정난개국정사공신(推忠協贊靖難開國定社功臣)
§약 칭: 정사공신(定社功臣)
§왕 대: 태조(太祖)
§책봉일: 무인년(1398) 9월26일.
§인 원: 18명(제1차왕자의난 후에는 29명이었으나, 제2차왕자의난 후에 11명삭탈, 18명으로 확정.)
§책봉사유: 세자이방석(李芳碩)과 이방원(李芳遠)·이방간(李芳幹) 형제간의 후계투쟁인“제1차왕자의난”승리에 기여.
【1등(一等)】8명.
|
인명 |
시호 |
군호 |
본관 |
비고 |
1 |
태 종(太 宗) |
공정(恭定) |
정안대군(靖安大君) |
전주(全州) |
|
2 |
이 화(李 和) |
양소(襄昭) |
의안대군(義安大君) |
전주(全州) |
개국1등 |
3 |
이방의(李芳毅) |
안양(安襄) |
익안대군(益安大君) |
전주(全州) |
개국1등 |
|
이방간(李芳幹) |
양희(良僖) |
회안대군(懷安大君) |
전주(全州) |
삭탈(削奪) |
4 |
이 저(李 佇) |
경숙(景肅) |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
청주(淸州) |
삭탈후추봉 |
5 |
조 준(趙 浚) |
문충(文忠) |
평양백(平壤伯) |
평양(平壤) |
개국1등 |
6 |
김사형(金士衡) |
익원(翼元) |
상락백(上洛伯) |
안동(安東) |
개국1등 |
|
이 무(李 茂) |
익평(翼平) |
단산부원군(丹山府院君) |
단양(丹陽) |
삭탈(削奪) |
|
조 박(趙 璞) |
문평(文平) |
평원군(平原君) |
평양(平壤) |
삭탈(削奪) |
7 |
하 륜(河 崙) |
문충(文忠) |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
진양(晉陽) |
|
|
이거이(李居易) |
문도(文度) |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
청주(淸州) |
삭탈(削奪) |
8 |
조영무(趙英茂) |
충무(忠武) |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 |
한양(漢陽) |
개국3등 |
§변동사항
- 삭제(4명): 회안대군 이방간, 이무, 조박, 이거이.
- 기타(1명): 이저.(삭탈후 추가 책봉)
【2등(二等)】10명.
|
인명 |
시호 |
군호 |
본관 |
비고 |
1 |
이양우(李良祐) |
안소(安昭) |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
전주(全州) |
|
|
심 종(沈 悰) |
|
청원후(靑原侯) |
청송(靑松) |
삭탈(削奪) |
2 |
이복근(李福根) |
안간(安簡) |
봉녕부원군(奉寧府院君) |
전주(全州) |
|
3 |
이지란(李之蘭) |
양열(襄烈) |
청해백(靑海伯) |
청해(靑海) |
개국1등 |
4 |
장사길(張思吉) |
희양(僖襄)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
안동(安東) |
개국1등 |
5 |
조 온(趙 溫) |
양절(良節) |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
한양(漢陽) |
개국1등 |
6 |
김 로(金 輅) |
공경(恭頃) |
연성군(延城君) |
연안(延安) |
개국3등 |
|
박 포(朴 苞) |
|
죽성군(竹城君) |
|
삭탈(削奪) |
7 |
정 탁(鄭 擢) |
익경(翼景) |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
청주(淸州) |
개국1등 |
8 |
이천우(李天祐) |
양도(襄度)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 |
전주(全州) |
|
|
장사정(張思靖) |
|
화산군(花山君) |
안동(安東) |
삭탈(削奪) |
|
장 담(張 湛) |
양안(良安) |
결성군(結城君) |
|
삭탈(削奪) |
9 |
장 철(張 哲) |
장양(莊襄) |
|
안동(安東) |
|
|
이숙번(李叔蕃) |
|
안성부원군(安城府院君) |
안성(安城) |
삭탈(削奪) |
10 |
신극례(辛克禮) |
|
취산군(鷲山君) |
영산(靈山) |
|
|
민무구(閔無咎) |
|
여강군(驪江君) |
여흥(驪興) |
삭탈(削奪) |
|
민무질(閔無疾) |
|
여성군(驪城君) |
여흥(驪興) |
삭탈(削奪) |
§ 변동사항
- 삭제(7명): 심종, 박포, 장사정, 장담, 이숙번, 민무구, 민무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