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공신

본문

1.고려시대 광산김씨 공신 8위

back.gif

 

번호

휘자(諱字)

시대(時代)

공신명

비고

1

3

길(吉)

태조

개국삼한벽상공신(開國三韓壁上功臣)

(高麗史, 吳元卿墓誌銘)

 

2

9

약온(若溫)

인종

추충수정안사공신(推忠守正安社功臣)

(尹彦頤墓誌銘)

 

3

15

심(深)

충숙왕

여절보안수성수의협보충량공신

(勵節保安輸誠守義協輔忠亮功臣)

 

4

16

인연(仁沇)

충숙왕, 충혜왕

추성보절익찬공신(推誠補節翊贊功臣)

 

5

16

흥조(興祖)

공민왕

이등 호종공신(二等 扈從功臣)

 

6

16

석견(石堅)

충숙왕, 충혜왕

일등훈 도형벽상공신

(一等勳 圖形壁上功臣)

 

7

17

원명(元命)

공민왕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

 

8

17

속명(續命)

공민왕

단성규의보리공신(端誠揆義輔理功臣)

 

 

1)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918년 왕건(王建)은 개국에 공이 큰 배현경(裴玄慶) 등 4인을 1등공신으로 삼고, 3등공신에는 무려 2,000여 명을 책록하여 상을 주었다. 940년(태조 23) 신(神興寺)에 공신당을 설치하고 1등 및 2등 개국공신의 화상을 동서벽에 그려 마다 복을 비는 대회를 열었다.

 

2) 호종공신(扈從功臣)

고려 후기 국왕이 원나라에 갈 때 수종한 공으로 책봉된 공신, 시종공신侍從功臣·수종공신(隨從功臣)·친종행리공신(親從行李功臣)이라고도 한다.

 

3) 벽상공신(壁上功臣)

고려시대 공신(功臣)에게 내린 호(號) 중의 하나, 무신이 집권했을 때 정중부(鄭夫)·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에게 명종(明宗)이 내려주었던 공신호로, 이들 공신의 초상을 그려 조정의 벽에다 붙인 데서 연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