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6) 봉작(封爵) |
연번 |
세(世) |
휘(諱) |
봉작(封爵) |
비고(備考) |
1 |
15世 |
심(深) |
화평부원군(化平府院君) |
고려사(高麗史) |
2 |
15世 |
도(瑫)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3 |
16世 |
광철(光轍) |
화평군(化平君) |
김광철묘지명(金光轍墓誌銘) |
4 |
16世 |
석견(石堅) |
화평부원군(化平府院君) |
고려사(高麗史) |
5 |
16世 |
승진(承晋)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씨족원류(氏族源流) |
6 |
16世 |
인연(仁沇)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7 |
16世 |
인연(仁衍)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8 |
17世 |
회조(懷祖) |
해양군(海陽君) |
씨족원류(氏族源流) |
9 |
17世 |
수(粹) |
해양군(海陽君) |
|
10 |
17世 |
서남(瑞南) |
광산군(光山君) |
|
11 |
18世 |
정(鼎) |
광성군(光城君) |
여지도서, 호남읍지 |
12 |
18世 |
계지(繼志) |
광성군(光城君) |
|
13 |
19世 |
약항(若恒)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14 |
19世 |
재(滓) |
광산군(光山君) |
|
15 |
20世 |
혁(革) |
광성군(光城君) |
|
16 |
20世 |
맹권(孟權)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
17 |
20世 |
을상(乙祥)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
18 |
20世 |
자빈(子贇)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19 |
21世 |
한로(漢老) |
광산군(光山君) |
고려사(高麗史) |
20 |
21世 |
철산(鐵山)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중종실록(中宗實錄) |
21 |
21世 |
백겸(伯謙) |
광원군(光原君)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22 |
21世 |
극성(克成)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중종실록(中宗實錄) |
23 |
22世 |
국광(國光)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세조실록(世祖實錄) |
24 |
22世 |
겸광(謙光) |
광성군(光城君) |
성종실록(成宗實錄) |
25 |
22世 |
면(沔) |
광주군(光州君) |
전고대방(典故大方)<청선고(淸選考)>는 光州君 |
26 |
23世 |
극뉴(克忸) |
광원군(光原君) |
|
27 |
23世 |
여석(礪石) |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
|
28 |
23世 |
극핍(克愊) |
광악군(光嶽君) |
|
29 |
23世 |
태흘(台屹) |
한평군(漢平君) |
|
30 |
24世 |
명윤(明胤) |
광평군(光平君) |
명종실록(明宗實錄) |
31 |
25世 |
인경(仁慶) |
광천위(光川尉) |
중종실록(中宗實錄) |
32 |
25世 |
태주(泰柱) |
해평군(海平君) |
|
33 |
26世 |
억성(億成) |
광무군(光茂君) |
|
34 |
26世 |
소(昭) |
광림군(光林君) |
|
35 |
29世 |
익겸(益兼) |
광원부원군(光源府院君) |
인조실록(仁祖實錄) |
36 |
29世 |
익훈(益勳) |
광남군(光南君) |
숙종실록(肅宗實錄) |
37 |
30世 |
만기(萬基) |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숙종실록(肅宗實錄) |
38 |
31世 |
진구(鎭龜) |
광은군(光恩君) |
숙종실록(肅宗實錄) |
39 |
33世 |
춘택(春澤) |
광녕군(光寧君) |
|
40 |
34世 |
두추(斗秋) |
광안군(光安君) |
|
41 |
34世 |
기성(箕性) |
광은부위(光恩副尉) |
영조실록(英祖實錄), 初名 두성(斗性) |
42 |
- |
휘남(輝南) |
화평군(化平君) |
|
43 |
- |
희(禧) |
화평군(化平君) |
李彦冲 墓誌銘(고려조) |
편집자 주
① 봉작(封爵): 王子, 王孫과 功臣 등을 君으로 封하거나, 또는 내명부(內命婦), 외명부(外命婦) 및 의빈(儀賓) 등에게 작호(爵號)를 주는 것.
* 의빈(儀賓)= 王 또는 王世子의 사위
② 봉작(封爵) 전거(典據)
*16세 金仁衍 : 光山君/1678년 咸陽朴氏初刊譜에 朴之彬 壻 宰臣光山君 金仁衍으로 기록됨.
*16세 金承晉 : 光山府院君 = 氏族源流에는 확인되나 그 外 史料에서는 확인불능
*17세 金懷祖 : 海陽君 =化平君 光轍의 嫡長子로 습훈(襲勳)
氏族源流에는 확인되나 그 外 史料에서는 확인불능
*17세 金粹 : 海陽君 = 化平府院君 石堅의 嫡長子로써 습훈(襲勳)
*17세 金瑞南 : 光山君 = 확인불능
*18세 金繼志 : 光城君 = 확인불능
*18세 金鼎 : 光城君
여지도서, 호남읍지 光州 人物 편
鼎 官至 重大匡 光城君 이라 했지만 1371년(恭愍王 20) 7월 26일(음)
신돈의 일당인 이춘부 등을 처형하고, 金縝과 金鼎을 杖流 할 때 광성군 勳號는 삭탈되었을 것임(고려사 등에 광성군 기록이 없는 이유)
○ 丙子 誅辛旽黨李春富·金蘭·李云牧編配其子. 又斬旽子二歲兒及奇顯子仲平, 杖流金縝及大護軍金鼎 (고려사)
*19세 金滓 : 光山君 = 확인불능
*20세 金革 : 光城君 = 敵愾勳 2等인 光原君 金伯謙의 父로 追封된 勳號로 여김
*20세 金孟權 : 光山府院君 = 靖國勳 4等 및 相臣인 金克成의 父祖에게 追贈된 훈호(勳號) 父는 純忠補祚功臣 領議政 光山府院君을, 祖에게는 左贊成을, 曾祖에게는 吏曹判書를 大典會通에 따라 각기 한 階씩 낮추어 贈職함〉
*20세 金乙祥 : 光山府院君 = 확인불능
*23세 金沔 : 光山君 = 敵愾勳 2等으로 光川君에 封해 졌다.〈典故大方〉<淸選考>는 光州君
*23세 金克忸 : 光原君 = 光金史(p1-264) 및 虛舟公派 世蹟錄(宋百憲 編 p56)에 의하면 〈“---여러직을 거쳐 司諫院大司諫에 이르러 1496,3, 6일 61세로 타계하였고, 뒤에 禮曹參判 兼 弘文館提學 同知成均館事에 贈職되었고, 光原君의 爵位를 받았다.” 하였을 뿐 封君에 대한 文獻的 근거는 제시되어있지 않다. 그러나 敵愾勳 2等과 佐理勳 1等 및 左議政으로써 光山府院君의 勳爵을 가진 金國光의 嫡長子로써 襲勳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하겠다.〈大典會通 吏典의 ‘追贈’ 規程에 의하면 ‘〇宗親에게는 宗正卿을 兼職으로 追贈하고, 功臣의 嫡長子孫에게는 封君을 겸하여 追贈한다.’라고 하였음.〉
*23세 金礪石 : 光山府院君 = 光金史(p1-266)에 의하면 ‘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1等勳에 光山府院君이 冊封되었다 하였으나, 敵愾功臣錄에는 金礪石이 보이지 않으니 근거 없는 附會로 여겨진다. (王朝實錄의 金礪石 卒記 참고)
*23세 金克愊 : 光嶽君 = 光金史(p1-295)에 의하면 公은 ‘純忠補祚功臣 光嶽君’에 追贈되고 諡號는 平靖公이라 하였는바, ‘純忠補祚功臣’은 3等功臣의 父에게 주어지는 勳號이다. 그렇다면 公의 아들 明胤이 3等功臣이어야하는데 明胤은 一等 推誠定難衛社功臣으로 光平君 勳號를 받았다 삭탈 되었다.〈‘大典會通의 追贈 規程’ = ‘一等功臣의 父 에게는 純忠積德秉義 補祚功臣을 追贈하고, 二等功臣의 父 에게는 純忠積德 補祚功臣을 追贈하며, 三等功臣의 父에게는 純忠補祚功臣을 追贈하고 모두 君을 封한다.’ 하였다.〉公의 諡號는 文獻備考에서 ‘平靖公’으로 확인되나 封君 史實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26세 金昭 : 光林君 = 확인불능
*26세 金億成 : 光茂君 = 확인불능
*32세 金春澤 : 光寧君 = 다음 문적 참조〈虛舟公派 世蹟錄 (宋百憲 編) pp333~335〉---- 그는 勳臣의 嫡長子를 우대하는 전례에 따라 大護軍에 임명되었다. --- 1874년(고종11) 대신들이 經筵의 자리에서 그가 忠心으로 정의를 구현하고, 倫綱을 바로잡은 공이 卓異하였음을 아뢰어, 吏曹判書·成均館祭酒·光寧君을 追贈받았고, 이로 말미암아 사후에 不祧의 恩典을 입었음은 물론 忠文의 諡號를 받았다.
*34세 金斗秋 : 光安君 = 위 문적〈虛舟公派 世蹟錄 p341〉참조 ---- 1768년에는 榮川郡守를 역임하니 治績이 많았다. 이듬해 8월 12일에 任所에서 타계하니 향년이 46세였다. 뒤에 누차 증직이 되어 吏曹判書에 이르고, 光安君에 封爵되었다. ---- / 功臣 光城府院君 萬基의 奉祀玄孫으로 勳封된 것으로 보임.
③ 봉작(封爵)은 기존 자료에 의하였으나, 몇몇분에 관한 전거(典據)를 확인하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