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인물사

본문

17) 명필록(名筆錄)

back.gif

 

연번

세(世)

휘 자(諱字)

시 대(時代)

비고(備考)

1

24世

구(絿)

중종(中宗)

조선전기 4대명필(四大名筆)

2

23世

경희(景熹)

중종(中宗)

동국필원(東國筆苑)

3

26世

대덕(大德)

명종(明宗)

국조필원(國朝筆苑)

4

28世

비(棐)

선조(宣祖)

동국필원(東國筆苑)

 

편집자 주

 

① 조선전기 4대 명필(四大名筆) :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 자암(自庵) 김구(金絿),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석봉(石峯) 한호(韓濩) 안평대군은 조맹부체를 체득하여 활달하고 넉넉한 품(品)을 따를 이가 없었고, 김구는 종왕(鍾王)의 서체를 익혀 인수체(仁壽體)라는 독창적인 서체를 개척하였으며, 양사언은 진체(晉體)의 대가로 해서(楷書)·행서(行書)·초서(草書)에 모두 뛰어났고, 한호는 왕희지(王羲之), 안진경(顔眞卿)의 서법을 익혀 각 체에 모두 뛰어나, 후기의 대가인 김정희와 쌍벽을 이루었다.

 

② 광산김씨사에는 구(絿), 대덕(大德), 비(棐), 우형(宇亨), 진규(鎭圭), 보택(普澤), 상숙(相肅), 두열(斗烈) 8명으로 되어있으나, 27世 우형(宇亨-인조시인(仁祖時人)), 31世 진규(鎭圭-현종시인(顯宗時人)), 32世 보택(普澤-현종시인(顯宗時人)), 33世 상숙(相肅-숙종시인(肅宗時人)),  34世 두열(斗烈-정조시인(正祖時人)) 5人은 예서․전서 등 글씨에 능하였거나 글씨에 조예가 깊었다는 기록은 있으나 동국속수문헌록 필원편(東國續修文獻錄 筆苑篇)에는 관련기록이 없다.

* 우형(宇亨) : 대구 龍淵寺 松坡大師覺敏塔碑

* 진규(鎭圭) : 李大源將軍 神道碑 篆額

* 보택(普澤) : 善 書畵

* 상숙(相肅) : 領相皇甫仁表文),·參判李喜朝表文, 홍천 壽陀寺瑞谷堂禪師塔碑文),·新興寺碑文 등

* 두열(斗烈) : 善 書,(吳世昌 槿墨에 詩稿 收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