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13) 공신(功臣) |
고려시대(高麗時代) 공신(功臣) |
|
연번 |
世 |
휘자(諱字) |
시대(時代) |
공신명 |
비고 |
1 |
3世 |
길(吉) |
태조 |
개국삼한벽상공신 (開國三韓壁上功臣) |
高麗史, 吳元卿墓誌銘 |
2 |
9世 |
약온(若溫) |
인종 |
추충수정안사공신 (推忠守正安社功臣) |
尹彦頤墓誌銘 |
3 |
15世 |
심(深) |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
여절보안공신 (勵節保安功臣) 수성수의충량공신 (輸誠守義忠亮功臣) 수성수의협보충량공신 (輸誠守義協輔忠亮功臣) |
高麗史, 高麗史節要 |
4 |
16世 |
인연(仁沇) |
충혜왕 공민왕 |
추성보절익찬공신 (推誠補節翊贊功臣) 일등호종공신(도형벽상) (一等扈從功臣(圖形壁上) 이등호종공신 (二等扈從功臣) |
高麗史, 高麗史節要 |
5 |
16世 |
흥조(興祖) |
공민왕 |
신축호종공신 2등 (辛丑扈從功臣 二等) |
高麗史, 高麗史節要 |
6 |
16世 |
석견(石堅) |
충혜왕 |
일등훈 도형벽상공신 (一等勳 圖形壁上功臣) |
高麗史, 高麗史節要 |
7 |
17世 |
원명(元命) |
공민왕 |
수복경성1등공신 (收復京城一等功臣) 신축호종2등공신 (辛丑扈從二等功臣) |
高麗史, 高麗史節要 |
8 |
17世 |
속명(續命) |
공민왕 |
단성규의보리공신 (端誠揆義輔理功臣) |
高麗史, 高麗史節要 |
9 |
18世 |
정(鼎) |
공민왕 |
추성보리공신 (推誠保理功臣) |
氏族源流 |
10 |
18世 |
인우(仁雨) |
공민왕 |
일등호종공신(도형벽상) 一等扈從功臣(圖形壁上) |
高麗史 |
편집자 주
※ 고려시대의 공신
①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삼한공신(三韓功臣) : 918년 왕건(王建)은 개국에 공이 큰 배현경(裴玄慶) 등 4인을 1등공신으로 삼고, 3등공신에는 무려 2,000여 명을 책록하여 상을 주었다. 940년(태조 23) 신흥사(神興寺)에 공신당을 설치하고 1등 및 2등 개국공신의 화상을 동서벽에 그려 해마다 복을 비는 대회를 열었다.
② 호종공신(扈從功臣) : 고려 후기 국왕이 원나라에 갈 때 수종한 공으로 책봉된 공신, 시종공신(侍從功臣)·수종공신(隨從功臣)·친종행리공신(親從行李功臣)이라고도 한다.
③ 벽상공신(壁上功臣) : 고려시대 공신(功臣)에게 내린 호(號) 중의 하나, 무신이 집권했을 때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이고(李高) 등에게 명종(明宗)이 내려주었던 공신호로, 이들 공신의 초상을 그려 조정의 벽에다 붙인 데서 연유하였다.
조선시대 정공신 (朝鮮時代 正功臣) |
|
연번 |
世 |
휘자 (諱字) |
년 |
시대 |
공신명 |
비고 |
1 |
21世 |
국광 (國光) |
1467 |
세조 |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
|
1471 |
성종 |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一等功臣) (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
||||
2 |
22世 |
백겸 (伯謙) |
1467 |
세조 |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
|
3 |
22世 |
면(沔) |
1467 |
세조 |
정충포의적개공신(二等功臣) (精忠布義敵愾功臣) |
|
4 |
22世 |
겸광 (謙光) |
1470 |
성종 |
순성명량좌리공신(三等功臣) (純誠明亮佐理功臣) |
|
5 |
30世 |
극성 (克成) |
1506 |
중종 |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四等功臣) |
|
6 |
23世 |
태흘 (泰屹) |
1624 |
인조 |
갈성분위진무공신(竭誠奮威振武功臣) (三等功臣) |
|
7 |
30世 |
만기 (萬基) |
1680 |
숙종 |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1등 (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一等) |
|
|
22世 |
명윤 (明胤) |
1548 |
명종 |
추성정난위사공신 1등 (推誠定難衛社功臣 一等) |
삭탈 (削奪) |
|
29世 |
익훈 (益勳) |
1680 |
숙종 |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 2등 (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二等) |
삭탈 (削奪) |
편집자 주
① 고려와 조선의 공신이 다른 점은 고려시대에는 일반적인 시기에도 공신을 봉하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정난이나 반정 등 정치적 사건에 공을 세운자들에게만 봉해지고 종친과 외척이 고려보다 더욱 공신에 많이 책봉되었다. (공신명호 총 28종, 조선조에 28번의 공신책록이 있었음)
② 김익훈 :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공신칭호 박탈당함.
③ 공신이란 국가나 왕실을 위하여 공훈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을 지칭하는 것인데,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구분하고 공적의 내용과 직위의 고하에 따정공신은 1등에서 4등으로, 원종공신은 3등까지로 나누었다. 조선초기에는 정공신에 한하여 교서와 녹권을 아울러 주었으나 원종공신에게는 녹권만을 주었다.
④ 적개공신(敵愾功臣)
1467년(세조 13) 5월의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공신 勳號이다. 난의 평정에 공을 세운 45명을 3등급으로 나누어 포상하였다.
1등 공신은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이라 하여 구성군 이준(龜城君 李浚)·조석문(曺錫文)·강순(康純) 등 10명,
2등 공신은 “정충포의적개공신(精忠包義敵愾功臣)”이라 하여 김국광(金國光) 등 23명,
3등 공신은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이라 하여 영순군 이부(永順君 李溥)와 한계미(韓繼美) 등 12명이 책정되어 등급에 따라 합당한 노비와 토지 등의 恩典이 주어졌다.
이들 중에서 강순(康純)과 남이(南怡)는 훗날 반역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은전(恩典)이 박탈되기도 했다.
⑤ 좌리공신(佐理功臣)
1471년(성종 2)에 군왕을 잘 보좌하여 선정을 베풀었다는 공으로 내린 勳號이다.
1등 공신인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에 신숙주(申叔舟)·한(韓明澮)·김국광(金國光) 등 9명,
2등 공신인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功臣)”에 월산대군 이정(月山大君 李亭)· 밀산군 이심(密山君 李沈)·정인지(鄭麟趾) 등 12명,
3등 공신인 “순성명량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에 성봉조(成奉祖)·노사신(盧思愼)·강희맹(姜希孟)·김겸광(金謙光)등 18명,
4등 공신인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에 김수온(金守溫)·이석형(李石亨) 등 총 75명이 책록되었다. 좌리공신(佐理功臣)은 중대한 정치적 사건이나 뚜렷한 계기가 없이 단지 훈구대신파의 권익만을 옹호하기 위해 功臣이 책봉되었다는 이유로 훗날 많은 논란이 빚어졌다.
⑥ 정국공신(靖國功臣)
1506년(중종 1)의 중종반정 당시에 공을 세운 신료들에게 내려진 功臣 勳號이다.
1등 공신은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류자광(柳子光) 등 8명으로, 박원종,성희안,류순정의 3명을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決策翊運靖國功臣)”으로, 나머지 5명을 “병충분의 협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協策翊運靖國功臣)”으로 책록하였다.
2등 공신은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으로 책록하여 운수군 이효성(운수군 이효성)·김수동(金壽童) 등 13명,
3등 공신은 “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으로 고수겸(高守謙)·송철(宋鐵) 등 30명,
4등 공신은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으로 변준(卞儁) · 변사겸(邊士謙) · 한숙창(韓叔昌) 윤여필(尹汝弼) 등 53명, 총 117명을 책록하였다.
정국공신은 선정된 공신이 여러 친족 집단의 연맹체 성격을 띤 점, 출신 성분에 있어서 무신과 음서(蔭敍)가 우세한 점, 명분상 비공신 계열에 대한 우월성이 결여된 점 등의 이유 때문에 조광조(趙光祖) 등 지치주의파(至治主義派) 학자들의 공격을 받게 되었고, 결국 심정(沈貞) 등 76명의 훈호(勳號)가 삭제됨으로써 훗날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게 된 주요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⑦ 진무공신(振武功臣)
1624년(인조 2)에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을 세운 신료들에게 내린 勳號이다.
인조반정 직후에 행해진 정사공신 책록 과정에서 2등 공신에 녹훈되어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을 품게 된 이괄은 1624년(인조 2)에 난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하였으나 도원수 장만(張晩)이 이끄는 관군에게 안현(鞍峴)에서 크게 패하고 도망하다가 부하에게 참수당하였다.
이괄의 난이 진압된 뒤 토벌 과정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유공자들을 그 공적의 다과에 따라 3등으로 구분하여 공신으로 책록하였다.
1등 공신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에는 장만(張晩)·정충신(鄭忠信), 남이흥(南以興) 등 3명,
2등 공신 “갈성분위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效力振武功臣)”에는 이수일(李守一)과 김기종(金起宗) 등 9명,
3등 공신 “갈성분위진무공신(竭誠奮威振武功臣)”에는 남이웅(南以雄)·신경원(申景瑗)·김태흘(金泰屹) 등 30명을 각각 책록하였고, 공통적으로 관직의 품계를 1~3계씩 올려 주었다.
⑧ 보사공신(保社功臣)
1680년(숙종 6)에 일어난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에서 공을 세운 이들에게 내린 勳號이다.
당시 경신대출척을 주도했던 병조판서 김석주(金錫冑)를 위시한 西人들이 다수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1등 공신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에는 김만기(金萬基)·김석주(金錫冑) 2인이 녹훈되었고,
2등 공신에는 이입신(李立身),
3등 공신에는 남두북(南斗北) · 정충로(鄭元老) · 박빈(朴斌) 등 3인이 책록되었다.
1689년(숙종 15)에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南人이 득세하게 되자 경신옥(庚申獄)을 무옥(誣獄)이라고 주장하여 보사공신의 勳號를 삭제하였다가, 1694년(숙종 20)에 경술옥사(庚戌獄事)로 재차 서인이 집권하게 되자 다시 勳號를 회복하였다.
조선시대 원종공신 (朝鮮時代 願從功臣) |
|
연번 |
世 |
휘자(諱字) |
년 |
시대 |
공신명 |
비고 |
1 |
17世 |
천리(天利) |
1395 |
태조 |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
조선조 개국 |
2 |
18世 |
희선(希善) |
1395 |
태조 |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
조선조 개국 |
3 |
18世 |
정(鼎) |
1395 |
태조 |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
조선조 개국 |
4 |
20世 |
청(廳) |
1455 |
세조 |
좌익원종공신 2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5 |
21世 |
예몽(禮蒙) |
1455 |
세조 |
좌익원종공신 2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6 |
21世 |
계원(繼元) |
1455 |
세조 |
좌익원종공신 2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7 |
22世 |
덕원(德源) |
1455 |
세조 |
좌익원종공신 2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8 |
22世 |
성원(性源) |
1455 |
세조 |
좌익원종공신 2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9 |
20世 |
소(遡) |
1460 |
세조 |
좌익원종공신 3등 (佐翼原從功臣 二等) |
단종선위 |
10 |
25世 |
인경(仁慶) |
1545 |
명종 |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 |
명종즉위 |
11 |
24世 |
구(絿) |
1591 |
선조 |
광국원종공신 1등 (光國原從功臣 一등) |
종계변무 |
12 |
26世 |
계휘(繼輝) |
1591 |
선조 |
광국원종공신 1등 (光國原從功臣 一등) |
종계변무 |
13 |
22世 |
굉(硡) |
1591 |
선조 |
광국원종공신 2등 (光國原從功臣 二등) |
종계변무 |
14 |
23世 |
극핍(克愊) |
1591 |
선조 |
광국원종공신 2등 (光國原從功臣 二등) |
종계변무 |
15 |
? |
광협(光鋏)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1등 (宣武原從功臣 一等) |
임진왜란 |
16 |
? |
홍담(弘淡)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17 |
? |
부(溥)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18 |
? |
효생(孝生)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19 |
23世 |
신민(信民)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20 |
24世 |
만동(萬同)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忠武李公舜臣同殉參佐諸公 |
21 |
24世 |
기수(麒壽)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22 |
? |
창(漲)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2등 (宣武原從功臣 二等) |
임진왜란 |
23 |
? |
언충(彦忠)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4 |
? |
영수(永守)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5 |
? |
세(世)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6 |
24世 |
수연(壽淵)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7 |
28世 |
기명(基命)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8 |
? |
발(潑)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29 |
? |
득(得)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30 |
? |
시헌(時獻) |
1605 |
선조 |
선무원종공신 3등 (宣武原從功臣 三等) |
임진왜란 |
31 |
? |
윤명(允明) |
1605 |
선조 |
호성원종공신 1등 (扈聖原從功臣 一等) |
임진왜란 |
32 |
25世 |
성업(成業) |
1605 1625 |
선조 인조 |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 3等)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3等) |
임진왜란 이괄의 난 |
33 |
? |
개민(介民) |
1624 1624 |
인조 |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
인조반정 이괄의 난 |
편집자 주)
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 태조4년(1395)
조선시대 개국공신을 늘리려는 의도에서 원종공신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조선에 들어와 신포상 제도로서 마련된 것이다 태조 원종공신은 문헌상 포상 하교에 나타난 인원만도 1,698인에 이른다. 즉, 개국공신 52인을 포함한 태조 공신의 총수는 1,750인을 상회하였다. 이는 신왕조 창업 유공자를 모두 수용한 것 외에도 신왕조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전 왕조의 관료계층을 회유, 포섭하려는 의미가 있었다.
②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 세조1년(1455)
단종을 폐하고 세조추대에 공을 세운 공신(功臣)
③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 : 선조24년(1591)
조선 선조 때 명나라 역사기록에 잘못 기록된 조선 종실계통을 바로잡는 데 공을 세운 19명에게 내린 공신 훈호(勳號). 명나라 법전인<大明會典>에 이인임(李仁任)과 그 아들 단(旦:李太祖/成桂)이 4왕(王)이나 살해했다고 잘못 기록된 것을 바로잡는데 공을 세운 신하들을 치하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종계변무宗系辨誣 라고 함)(광국공신은 1589년 책봉)
원종공신은 그로부터 만 1년여가 지난 선조24년 책봉되었다.
④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 선조38년(1605)
임진왜란때 전투에서 공을 세우거나 군수품 보급에 기여하거나 전사한 인물로서 선무공신에 들지 못한 사람들에게 선조 38년(1605년)에 내린 훈호. 총 9,060명으로 1등은 임해군, 2등은 첨사 황제득, 3등은 관노상경등(왕족,헌비,농부,천민 등 신분을 초월)
⑤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 : 선조38년(1605)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피난한 공신
⑥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 : 명종1년(1545)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일으키고 윤임(尹任) 등 대윤파(大尹)를 몰아냄
⑦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 : 인조3년(1625)
인조반정에서 공을 세운 공신(功臣)
⑧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 인조3년(1625)
이괄의 난 평정에 공은 세운 공신(功臣)
⑨ 광산김씨 역사관 도록 기록에는 소(遡), 청(廳), 예몽(禮蒙), 덕원(德源), 성원(性源) 6명이었다.
⑩ 호남절의록 내용 중 공신이라고 기록된 분 중 다음 10분은 공신록 명단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金彦希, 金禧周, 金得孝, 金孝信, 金弘烈, 金貴仁, 金致顉 (宣武原從勳 7분), 金尙華 (揚武原從 1분), 金尙瓊, 金春景 (振武原從勳 2분)
조선시대 정공신의 종류 및 인원 |
|
(단위 : 명)
|
년도 |
공신명 |
1등 |
2등 |
3등 |
4등 |
합계 |
비고 |
1 |
1392 |
개국공신 |
15 |
9 |
15 |
|
39 |
|
2 |
1398 |
정사공신 |
8 |
10 |
|
|
18 |
|
3 |
1401 |
좌명공신 |
4 |
3 |
9 |
22 |
38 |
|
4 |
1453 |
정난공신 |
12 |
8 |
17 |
|
37 |
|
5 |
1455 |
좌익공신 |
7 |
12 |
22 |
|
41 |
|
6 |
1467 |
적개공신 |
7 |
22 |
12 |
|
41 |
|
7 |
1469 |
익대공신 |
4 |
10 |
24 |
|
38 |
|
8 |
1471 |
좌리공신 |
9 |
12 |
18 |
36 |
75 |
|
9 |
1506 |
정국공신 |
5 |
13 |
31 |
57 |
106 |
|
10 |
1507 |
정난공신 |
1 |
|
|
|
1 |
|
11 |
1545 |
위사공신 |
|
|
|
|
|
위훈삭탈 |
12 |
1589 |
광국공신 |
3 |
7 |
9 |
|
19 |
|
13 |
1590 |
평난공신 |
3 |
12 |
7 |
|
22 |
|
14 |
1604 |
호성공신 |
2 |
31 |
53 |
|
86 |
|
15 |
1604 |
선무공신 |
3 |
5 |
10 |
|
18 |
|
16 |
1604 |
청난공신 |
1 |
2 |
2 |
|
5 |
|
17 |
1613 |
위성공신 |
|
|
|
|
|
위훈삭탈 |
18 |
1613 |
정운공신 |
|
|
|
|
|
위훈삭탈 |
19 |
1613 |
익사공식 |
|
|
|
|
|
위훈삭탈 |
20 |
1613 |
형난공신 |
|
|
|
|
|
위훈삭탈 |
21 |
1623 |
정사공신 |
7 |
13 |
27 |
|
47 |
|
22 |
1624 |
진무공신 |
3 |
9 |
20 |
|
32 |
|
23 |
1627 |
소무공신 |
1 |
2 |
3 |
|
6 |
|
24 |
1628 |
영사공신 |
1 |
5 |
5 |
|
11 |
|
25 |
1644 |
영국공신 |
2 |
2 |
1 |
|
5 |
|
26 |
1680 |
보사공신 |
2 |
1 |
2 |
|
5 |
|
27 |
1723 |
부사공신 |
|
|
|
|
|
위훈삭탈 |
28 |
1728 |
분무공신 (양무공신) |
1 |
6 |
7 |
|
14 |
|
|
|
합계 |
101 |
194 |
294 |
115 |
7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