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링크
본문
11) 경연관(經筵官) |
연번 |
세(世) |
휘자(諱字) |
시대 |
호 또는 시호 |
그때의 벼슬 |
1 |
21世 |
예몽(禮蒙) |
세조 |
문경공(文敬公) |
집현전 부제학 (集賢殿 副提學) |
2 |
23世 |
여석(礪石) |
세조 |
충목공(忠穆公) |
성균관학유 겸 예문관검열 (成均館學諭兼藝文館檢閱 |
3 |
23世 |
극핍(克愊) |
중종 |
평정공(平靖公) |
좌찬성(左贊成) |
4 |
23世 |
철문(綴文) |
중종 |
|
홍문관 부응교 (弘文館 副應敎) |
5 |
23世 |
내문(乃文) |
중종 |
|
사헌부 장령 (司憲府 掌令) |
6 |
24世 |
구(絿) |
중종 |
문의공(文懿公) |
홍문관 직제학 (弘文館 直提學) |
7 |
25世 |
개(鎧) |
명종 |
독송정(獨松亭) |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
8 |
27世 |
장생(長生) |
인조 |
문원공(文元公) 산림경영관(山林經營官) |
사헌부 집의 (司憲府 執義) |
9 |
28世 |
집(集) |
인조 |
문경공(文敬公) 산림경영관(山林經營官) |
사헌부 대사헌 (司憲府 大司憲) |
10 |
27世 |
우형(宇亨) |
효종 |
정혜공(貞惠公) |
홍문관 교리 (弘文館 校理) |
11 |
34世 |
정묵(正黙) |
정조 |
과재(過齋) 산림경영관(山林經營官) |
사헌부 지평 (司憲府 持平) |
12 |
36世 |
낙현(洛鉉) |
고종 |
문경공(文敬公) 산림경영관(山林經營官) |
사헌부 대사헌 (司憲府 大司憲) |
편집자 주
① 경연관(經筵官)이란 경연청에서 일하는 관리를 말한다. 경연청(經筵廳)이란 중종(中宗) 35년에 창설하였는데 왕이 문신(文臣)과 함께 경사(經史)와 고금치란(古今治亂)에 관하여 연구 토론하는 관청을 말한다.
② 국왕에게 유교의 경서를 강론하는 등 학문 지도와 치도(治道) 강론을 하고 때로는 국왕과 함께 현안 정치문제도 토의하는 관직이어서 가장 명예로운 자리로 여겼고, 그만큼 학문과 인품이 뛰어난 문관을 임명하였으며, 조선 후기에는 재야학자도 참여하였다.
③ 고려 초기의 경연관제도는 자세하지 않으나, 1129년(인종 7) 인종은 서적소(書籍所)를 설치하고 여기에 나아가 승선(承宣) 정항(鄭沆)에게 송나라의《충의집(忠義集)》을 강독하게 한 것이 고려 경연관의 첫 기록이다. 이 무렵의 경연관제도는 정비되지 않아 1132년의 경우를 보면, 예부낭중(禮部郎中), 기거주(起居注) 등의 관직에 있는 문관이 경연에 참여하였다. 목종 때 원나라가 경연관은 황제국의 관직이라 하여 서연관(書筵官)으로 고쳤다. 1390년(공양왕 2) 다시 경연관으로 개칭하여 영사(領事), 지사(知事), 동지사(同知事) 각 2명, 참찬관 4명, 감독관 2명, 검토관 4명 등의 경연관을 두었다.
④ 조선시대에는 성종 때 경국대전에 의해 법제화되어, 정1품 영사 3명, 정2품 지사 3명, 종2품 동지사 3명, 정3품 참찬관 7명, 정4품 시강관(侍講官) 4명, 정5품 시독관 2명, 정6품 검토관 2명, 정7품 사경(司經) 1명, 정8품 설경(說經) 1명, 정9품 전경(典經) 1명 등의 경연관을 두었다.
⑤ 각 종중은 나름대로 왕조 실록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삼아 역대 선조 중 경연관이었던 분들을 열기하고 있으나, 출판물로서 공식화된 자료는 전고대방(典故大方)으로 조선조 선조조 이래 철종대까지의 88명의 기록인데, 광산김씨는 장생(長生), 집(集), 정묵(正黙) 3분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