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김씨 인물사

본문

1) 문묘배향(文廟配享)

back.gif

 

연번

()

시호(諡號)

아호(雅號)

()

시대(時代)

1

26

장생(長生)

문원공(文元公)

사계(沙溪)

형조참판

(刑曹參判)

선조(宣祖)

2

27

()

문경공(文敬公)

신독재(愼獨齋)

판중추부사

(判中樞府事)

인조(仁祖)

 

편집자 주

 

① 문묘(文廟)란 유교(儒敎)의 성인(聖人) 공자(孔子)을 모신 사당(祠堂)을 말한다.

우리나라 문묘 제도는 중앙에 성균관(成均館)이 있고, 각 고을에 향교(鄕校)가 있으며, '대성전(大成殿)'에서는 공자(孔子) 이하 고대 중국 이래의 성(聖) 현(賢) 제위(諸位)와 우리 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享祀)를 하는데, 중앙 '성균관'에서는 5성(五聖), 공문 10철(孔門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중국 역대제현(歷代諸賢) 94위 및 동국 18현 도합 133위를 봉향(奉享)하였다.

 

그리고 각 고을 향교 중에서 주(州), 부(府), 군(郡) 곧 목사(牧使), 부사(府使), 군수(郡守)가 다스리는 고을에서는 소위 중설위(中設位)라 하여 '5성, 공문 10철, 송조 6현, 동국 18현'등 39위를 봉향하며, 현(縣) 곧 현령(縣令), 현감(縣監)이 다스리는 고을에서는 소설위(小設位)로 '5성, 송조 4현(周濂溪, 程明道, 程伊川, 朱晦菴), 동국 18현' 등 27위만 봉향하였다.

 

② 동국 18현(東國十八賢) 또는 동방 18현(東方十八賢) : 문묘에서 배향하는 한국의 유학자들을 말한다. 본래 동서재(東西齋)에 있었으나 1975년 9월에 대성전(大成殿)으로 옮겨졌다.

 

경주 설씨 홍유후(弘儒侯) 설총(薛聰)

순흥 안씨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

서흥 김씨 문경공(文敬公) 김굉필(金宏弼)

한양 조씨 문정공(文正公) 조광조(趙光祖)

진성 이씨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

덕수 이씨 문성공(文成公) 이이(李珥)

광산 김씨 문원공(文元公) 김장생(金長生)

광산 김씨 문경공(文敬公) 김집(金集)

은진 송씨 문정공(文正公) 송준길(宋浚吉)

경주 최씨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

연일 정씨 문충공(文忠公) 정몽주(鄭夢周)

하동 정씨 문헌공(文獻公) 정여창(鄭汝昌)

여주 이씨 문원공(文元公) 이언적(李彦迪)

울산 김씨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

창녕 성씨 문간공(文簡公) 성혼(成渾)

배천 조씨 문열공(文烈公) 조헌(趙憲)

은진 송씨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반남 박씨 문순공(文純公) 박세채(朴世采)

 

③ 조선시대 문묘배향공신을 배출(輩出)한 가문(家門)은 최고의 학자 가문으로 존경(尊敬)받았으며 국가(國家)에서는 기회(機會)가 되는 대로 그 후손(後孫)들을 녹용(錄用:특채特採)하였다. 문묘에 배향된다는 것은 전통사회(傳統社會)에서는 가문의 최고의 영예였다. 조선 왕조(朝鮮王朝)의 왕족(王族)인 전주 이씨조차도 문묘에 배향된 이가 없다. 우리 광삼김씨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두 부자(父子)분이시다.

 

④ 지금 성균관에서는 중국 역대제현 94위를 모시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