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지기 평장동

본문

3) 보본숭현과 양육인재의 도장(報本崇賢과 養育人材의 道場)

back.gif

 

사우란 신주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집을 말 한다 이곳 평장사는  광산김씨 후손들이 시조 신라왕자공 김흥광에 대한 추원보본의 도를 성경의 예로써 받들고 양육 인재를 위한 강학도장이다

 

사우는 설립목적이나 기능, 명칭 상에서 서원과 그 성격이 크게 구별 된다.예컨대 서원이 양육인재와 사문진흥에 목적을 두고 강학의 기능을 담당하였음에 반하여 사우의 경우는 이러한 교육적 기능보다는 보본 숭현의 구현에 더욱 큰 비중이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기 이후부터 서원이나 사우는 모두 조선시대 양반들이 그들의 사회적 기능을 유지 보강하려는 같은 목표를 가진 것이었으므로 점차 그 엄격한 구별이 무너져갔다. 호남지역의 서원 사우 건립은 전국 총 건립수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시기별로도 전라도가 선조 현종대의 전국 평균 사우점유율 34%를 훨씬 넘는 42%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나, 숙종-정조대의 평균 56%를 크게 상회하는 65%에 달하는 점에서 돋보여진다.

 

이같이 서원보다 사우의 점유율이 높다는 것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서원과 사우의 구분이 모호해졌다는 사실과 서원보다는 사우의 경우 문중적인 성향의 인물제향이 상대적으로 많다고 볼 수 있으며 대원군이 섭정하면서 서원에 대한 일체의 특권을 없애고 설치를 엄금하고, 축소정비정책에 따라 더욱 심화되었다.

 

가례에 의하면 사우는 반드시 앞을 남쪽으로 하고 뒤를 북쪽으로 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우의 건축공간은 반드시 축을 형성하였고 중요한 건물은 축을 중심으로 하고 주변의 건물을 좌우에 배치하여 건물의 위계 성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평지에 세워지는 경우는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면서 축을 꺽던가, 아니면 축을 변형하여 병렬 형 등으로 자연 지세와 어울리도록 하였다.

 

평장사는 전통 유교 건물로써 권위를 강조하여 정면 상부에 시조공 사우를 정점으로 하여 내삼문, 취사당, 광일문을 무등산 정상과 일직선 축으로 하고 주변의 시설물은 상호 대칭을 형성하여 위계 성을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