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대 왕조대

본문

附記. 왕자대 답사(王子臺 踏査)

back.gif

 

2009년 10월 8일 광산김씨 종원(宗員) 10人이 처음으로 왕자대를 답사하였다.

답사진 일행은 차량편으로 연세대 김용섭(金容燮)교수가 2001년 <역사학보 172집>에서 왕자대로 비정(比定)했던 광주광역시 남구 월성동 일대[註 1]를 탐방하였으나 흔적을 찾지 못하고 학산교(鶴山橋)를 건너 나주시 노안면 학산 1구 용산마을을 탐방하였다.  

 

이 마을에 세거(世居)한다는 전태희(田太熙)씨로 부터 산 이름이 왕자대 이며, 아직 토성터가 남아 있고 정상에 샘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으며 기와편과 토기편이 나온다는 설명을 듣고, 전씨의 안내로 현장을 답사하여 정상에 올라 사방을 둘러보니 천혜의 요새지로 광활한 일대가 한눈에 들어왔으며 정상은 평평하고 토성유지 일부가 아직 남아 있었다. 산 중턱에는 4단으로된 말 훈련장이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일행은 훈련장 일부도 답사하였다.

 

답사자(10인)

김두한(金斗漢. 대종중 고문, 전 대종회장),

김철영(金哲泳. 대종중 부유사, 사온직장공파도유사),

김장윤(金壯潤. 전 광산김씨 상계사연구위원), - 이상 서울-

김  인(金  仁. 전 광산김씨 상계사연구위원), -부산-

김유수(金斞洙. 대종중 고문. 전 문숙공파도유사),

김일재(金一才. 대종중 고문, 전 밀직사사공파도유사)

김용수(金龍洙. 전 대종중이사, 전 화평부원군파도유사)

김중채(金重采. 전 대종중 이사회의장, 평장동성역화사업 추진위원장)

김재한(金在漢. 문숙공파도유사)

김선술(金善述. 전 대종중 이사회의장,  -이상 광주

 

金 壯 潤 (前 광산김씨 상계사연구위원)

 

 

 

[註 1]: 奎章閣所藏 彩色筆寫本 동여도(東輿圖)와 청구요람(靑邱要覽)에 의하면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王子臺> 글자 우측 표시지점 ㅇ은 왕자대를  표시한 것이 아니고 유등곡(柳等谷)을 표시한 것인데 대동여지도 판각자(板刻者)가 실수로 판각하지 않았다고 여긴동여도와 청구요람에 의하면 왕자대는 신원(新院=驛院) 옆, 즉 극락강과 지석강 남평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표기되어 있어 여러 문헌에서 설명한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한다.